비오는 날의 흙냄새, 혹은 풀냄새가 맡아진다고 하지요.
이 흙 냄새나 풀 냄새 혹은 비 냄새라고 말하는 냄새들을
1964년 국제 과학 학술지인 네이처에서 '페트리코'라고 칭했습니다.
페트리코는 바위틈이나 흙에 있던 화합물들이 유발하는 향으로써,
자연에 살고 있는 미생물들이 죽으며 발생하는 유기물질이 단순 화합물로 분해되고
이 활동의 부산물인 지오즈민이라는 유기화합물이 만들어 집니다.
이 지오즈민이 바로 비가 오면 느껴지는 흙냄새의 원인이 되는 물질입니다.
빗방울이 지면이나 바위에 닿았을때 이 성분이 에어로졸을 통해 이동하게 되므로
비오는날 이러한 냄새를 맡을 수 있습니다.
즉 비 냄새, 흙 냄새, 풀 냄새라고 하는 냄새인 페트리코는
비가 올때 생기는 미세한 방울인 에어로졸이
빗방울 표면을 벗어나 대기 중으로 퍼지면서 나는 냄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익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지압 지도, 발바닥에 연결된 몸의 기관 (0) | 2023.02.14 |
---|---|
'오금'과 같이 신체를 표현하는 우리말 (0) | 2023.02.13 |
음식에 들어 있는 당분을 각설탕으로 비교해 봤더니 (0) | 2023.02.13 |
삶은 달걀보다 단백질이 더 풍부한 고단백 음식들 (0) | 2023.02.10 |
또 오르는 미친 물가 2023년 2월부터 달라지는 가격표 (0) | 2023.01.31 |
스쿼트와 린지 하루 꼭 해야하는 운동 8가지 (0) | 202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