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상식

얼음으로 물을 끓일 수 있을까?

높은 산에서 밥을 하면 밥이 설익는다. 평지와 산꼭대기의 기압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우리는 막연히 물이 100도C에서 끓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외부 압력만 조절해주면 80 정도에서도 물을 끓일 수 있다. 


물이 끓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것은 액체의 증기압력이 외부압력과 같아지는 것을 뜻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얼음이 식은 물을 다시 끓일 수 있을까? 

플라스크나 주전자 안에 있던 물은 일단 끓은 뒤 수증기로 변한다. 물이  80℃ 정도로 식은 뒤 얼음주머니를 대주면 플라스크나 주전자 안의 빈 공간에 있던 수증기가 다시 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플라스크나 주전자의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물은 낮은 온도임에도 불구하고 다시 끓게 되는 것이다. 


산에 가서 밥을 하면 설익는 것도 마찬가지 원리다. 

산 정상은 기업이 더 낮아서 물을 끓이면 외부 압력이 낮기 때문에 쌀이 채 익기도 전에 100℃ 보다 낮은 온도에서 물이 끓어 밥이 설익게 된다. 그래서 산에서 밥을 할 때는 무거운 돌을 그릇 위에 올려 외부압력을 높여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