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익한정보

장애인들의 올림픽 패럴림픽Paralympic Games에 대해 알아보자


1. 패럴림픽(영어: Paralympic Games, 프랑스어: Jeux paralympiques)은

신체적 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참가하는 국제 스포츠 대회이다. 흔히 장애인 올림픽(障碍人 올림픽, 문화어: 장애자 올림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기서 말하는 신체적 장애란 근육의 손상 (하반신 마비 및 사지마비, 근육 영양 장애, 포스트 소아마비 증후군, 척추 피열), 수동적 운동장애, 사지 결핍 (절단 및 지이상), 다리 길이의 차이, 짧은 신장, 긴장과도, 운동실조, 아테토시스, 시각 장애, 지적 장애, 정신 장애를 포함한다.

 

 

2. 본래 패럴림픽은, 척추 상해자들끼리의 경기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paraplegic’(하반신 마비의)과 ‘Olympic’(올림픽)의 합성어였다. 그러다가 다른 장애인들도 경기에 포함이 되면서, 현재는 그리스어의 전치사 ‘para’(옆의, 나란히)를 사용하여 올림픽과 나란히 개최됨을 의미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의 패럴림픽은 ‘paralysis’(마비)나 ‘paraplegia’(하반신 마비)의 원래 어원에서 벗어나 있다고 할 수 있다.

3. 패럴림픽은 다양한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출전하므로, 각각의 선수는 10개의 장애 카테고리 중 하나의 가능한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10개의 카테고리는 근육의 손상, 수동적 운동장애, 사지 결핍, 다리 길이의 차이, 저신장, 긴장과도, 운동실조, 아테토시스, 시각 장애, 지적 장애를 포함한다. 위의 카테고리는 종목에 따라 다시 여러 개의 분류로 나뉜다.

 

이 분류 시스템은 선수들이 자신의 장애를 과장하여 말하는 부정행위의 논란으로 이끌기도 했는데, 이는 다른 시합에서 일반 선수들이 성능 향상 약물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청각 장애인과 발달 장애인은 패럴림픽에 출전하지 않는다.

청각 장애인은 데플림픽에, 발달 장애인은 스페셜 올림픽에 출전한다.

 

 

 

4. 패럴림픽은 1948년 세계 2차 대전의 영국 퇴역 군인들의 작은 모임으로부터 오늘날 대규모의 국제 스포츠 대회중의 하나로 발전해 왔다. 그리고 패럴림픽 대회가 참전병들 뿐만 아니라 모든 장애인을 포함하는 대회로 성립된 것은 1960년 로마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는 23개국으로부터 400명의 선수들이 참가하였다. 

 

패럴림픽 대회는 1960년 이후부터는 올림픽 대회와 같은 년도, 나라에서 개최되었다. 

초기에는 휠체어를 타는 장애인들만 대회에 참가할 수 있었지만, 1976년 하계 패럴림픽 대회 때 처음으로 다른 장애를 가진 선수들도 참가하였다. 다양한 분류의 장애인이 참가하게 됨으로써 1976년 하계 대회는 40개국으로부터 1600명의 선수들로 확장되었다. 

 

서울에서 열린 1988년 하계 패럴림픽 대회는 패럴림픽의 역사상 중요한 사건중의 하나이다. 

이 대회는 하계 올림픽이 끝난 후 바로 그 도시에서 올림픽 때 사용된 시설을 사용하였다. 이후 올림픽과 패럴림픽은 같은 연도에 같은 도시에서 개최되게 되었으며 1992, 1996, 2000년 하계 패럴림픽도 같은 방식으로 개최되었고, 이는 결국 2001년에 세계 장애인 협회(IPC) 와 세계 올림픽 협회(IOC) 간에 협정을 맺는 발판이 되었다. 이 협정은 현재 2020년 까지 확장되었다. 동계 패럴림픽은 1992년부터 올림픽의 시설을 사용하였다.

 

 

 

5. 첫 번째 동계 패럴림픽 대회는 1976년 스웨덴 Örnsköldsvik에서 열렸다. 이 대회는 다양한 분류의 장애인들이 참가했던 첫 번째 동계 패럴림픽 대회이다. 동계 대회는 4년 마다 한번 씩 하계 대회와 같은 년도에 열렸고 이는 1992년 프랑스 Albertville 대회 때까지 계속되었다. 그 후 1994년부터는 동계 패럴림픽 과 동계 올림픽은 하계 대회와는 다른 년도에, 즉 2년의 차이가 나게 열렸다.

 

6. 패럴림픽은 동계 패럴림픽과 하계 패럴림픽이 있으며,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 이후로는 올림픽을 개최한 도시에서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의 주관 하에 4년마다 개최된다. 

 

 


7. 패럴림픽을 주관하는 단체는 IPC 이다.

IPC는 패럴림픽 운동을 관리하는 국제단체이며 176개의 국가 패럴림픽 위원회(NPC)와 4개의 특정 장애 국제 스포츠 협회로 구성된다. 현 IPC 회장은 Phillip Craven이며, 영국의 전 팰럴림픽 선수였다. Craven은 IPC회장의 자격으로 국제 올림픽 위원회의 의원이기도 하다. IPC의 본사는 독일 Bonn에 위치해 있다.

 

IPC는 하계 및 동계 패럴림픽 대회를 조직하는 의무를 가진다. 

IPC는 또한 9개 종목 (패럴림픽 육상, 패럴림픽 수영, 패럴림픽 사격, 패럴림픽 역도, 패러 알파인 스키, 패럴림픽 바이오슬론, 패럴림픽 크로스컨트리 스키, 아이스 슬레지 하키, 휠체어 댄스 스포츠)의 국제 스포츠 협회 일을 담당한다. 따라서 IPC는 이 각각의 9개 스포츠의 세계 챔피언십 및 다른 대회를 감독하고 관장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국가 패럴림픽 위원회 및 국제 스포츠 연맹 또한 IPC의 회원이다. 국제 연맹은 IPC로 부터 승인받은 독립 스포츠 협회이며 패럴림픽 스포츠 중 한 종목의 단독 대표자가 된다. 국제 연맹들은 패럴림픽 대회 기간 동안 각각의 스포츠 종목의 경기 및 훈련 장소의 지도와 기술적 사법권을 포함하는 책임을 지니고 있다. 

IPC는 또한 미디어 파트너, 인증 관리, 심판을 인정하며 장애인 올림픽 헌장의 조례를 시행할 책임을 지닌다.

IPC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와 협력 관계를 이루고 있다. 

IPC의 대표자는 IOC의 의원이기도 하며 IOC 위원회 및 의뢰에 참여한다. 

두 단체의 긴밀한 협력 관계에도 불구하고 IPC와 IOC는 별개의 단체이다.

 

 

8. IPC가 생기기 전 먼저 '장애인을 위한 국제 스포츠 위원회 (International Sports Organization for the Disabled, ISOD)'가 1964년에 설립되었다. 이 기구의 창립자는 IOC가 올림픽 대회의 관리기관을 맡는 것처럼 ISOD가 장애인 스포츠의 관리 기관이 되도록 계획했다. 그리고 1982년에 이 기구는 장애인을 위한 국제 스포츠 단체 조정 위원회 (International Coordinating Committee of World Sports Organizations for the Disabled, ICC)가 되었다. 그리고 1989년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IPC)로 재편성되었다.

 

9. 2020년 하계 패럴림픽(영어: 2020 Summer Paralympics, XVI Paralympic Games, 일본어: 2020年夏季東京パラリンピック)은 일본 도쿄에서 2021년 8월 24일부터 9월 5일까지 개최될 예정이다. 일본은 1964년 하계 패럴림픽 이후에 두 번째로 하계 패럴림픽을 유치하게 되었다. 또한 도쿄는 패럴림픽 역사상 최초로 패럴림픽을 2번 이상 개최한 도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