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새뱃돈 얼마가 적절할까?
1. EBS가 교육 콘텐츠 전문회사 스쿨잼에서 초등학생과 어른 1천138명을 대상으로 적정한 세뱃돈에 대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2020.1.22. 조사 발표)
2. 조사 결과 세뱃돈을 주는 어른은 1만원, 받는 초등학생은 5만원이 가장 적당하다고 답했다.
3.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세뱃돈을 주는 어른은 43.0%가 1만원을 택했으며, 3만원(20.0%), 2만원(14.5%), 5만원(11.7%), 5천원(3.5%) 순이었다. 어른은 절반가량이 1만 원이 적당하다고 답했다.
4. 세뱃돈을 받는 아이들은 어떨까? 초등학생은 1위부터 4위까지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가장 많은 21.3% 학생들이 5만원이 적당하다고 답했고 3만원(20.1%), 1만원(19.5%), 2만원(18.0%)이 뒤를 이었다. 어른의 1.1%만 택한 10만원은 초등학생들 사이에서는 5위(6.6%)를 차지했다.
5. 평균을 내봤다. 세뱃돈을 주는 입장에서는 평균 금액은 2만 2천원, 받는 입장에서는 초등학생 3만 8천원으로 주는 사람과 받는 아이들의 차이가 1만 6천원이다.
6. 이전과 비교해보자. 2018년 집계에선 주는 어른은 평균 2만원, 받는 초등학생은 평균 3만 6천원으로 조사되었다. 2년 사이 평균 금액은 어른과 초등학생 모두 동일하게 2천원 상승한 것을 볼 수 있다.
7. 어른들의 답변 중에는 '학년별로 다르게 줘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대부분은 초등학교 저학년 1만원, 고학년은 2만~3만원이 적당하다고 답했다. 응답 중에는 초중고생 모두 다르게 줘야 하므로 초등학생은 적은 금액을 줄 수밖에 없다는 의견도 있었다.
8. 초등학생 답변 중에는 어른의 지갑 사정을 생각하는 대답도 많아 눈길을 끌었다. 여러 명의 아이에게 용돈을 주어야 하므로 금액이 높을수록 어른들 부담이 커진다는 내용이었다. 5만원을 택한 응답자들은 초등학교 고학년 비율이 높았으며, 학교 준비물과 참고서 구입, 친구들과 군것질 등을 위해 필요하다고 답했다.
'유익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스크 착용시 안경 김서림 방지 꿀팁 4가지 (0) | 2020.02.11 |
---|---|
비누로 손씻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주는 실험 (0) | 2020.02.01 |
질병관리본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 폐렴) 예방수칙 (0) | 2020.01.27 |
인간의 노화를 네 가지 경로로 밝혀낸 네 가지 노화유형 (0) | 2020.01.21 |
회원가입 없이 온라인에서 유용한 유틸리티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 모음 (0) | 2020.01.16 |
미국이 의료보험 후진국인 이유 (0) | 2019.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