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동사연

삼일절 꼭 기억해야 할 여성 독립운동가들


여성 독립운동가의 대명사는 ‘유관순 열사’다. 하지만 유관순 열사를 제외한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존재와 활동에 대해서는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 조마리아·​윤희순·​권기옥·​김마리아·​박자혜·​박차정이라는 이름조차 생소하다. 《암살》이나 《밀정》 등 영화를 통해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일부 활약상에 관심이 주목되기도 했지만, 영화적 요소로 치부하는 경우도 많았다. 


여성이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독립운동에 참여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이준식 독립기념관 관장은 《3·1운동과 여성-세계평화의 길, 한국여성독립운동에서 찾다》 토론회에서 “당시까지만 해도 남녀를 구분하는 인습이 강고하게 자리를 잡고 있었다. 그런 가운데서도 독립을 위해서는 남성과 여성이 모두 일선에 나서야 한다는 사실을 자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며 “3·1운동은 여성이 독립운동의 일선과 사회활동의 전면에 나서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였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1919년 3월1일 1000여명의 여학생은 YMCA 등과 연계해 만세 시위에 나섰다. 대한민국애국부인회는 100여명의 회원을 꾸려 군자금을 모으고 전국에 조직망을 설치했다. 대한민국애국부인회는 여성독립운동 뿐 아니라 여권신장운동의 신기원으로도 불린다. 


우리가 잊지 않아야 할 여성독립운동가들..그들을 기억하고자 인터넷을 통해 관련 사진들을 모아보았다. 




그러나 정부가 공식적으로 추모하는 여성 독립운동가는 292명뿐이다. 전체 국가유공자의 1.9%에 불과하다. 최근 들어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활약을 기리고 역사적 조명을 받게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지난해 광복절 당시 “여성 독립운동가들은 전면에 나서지 않고 뒤에서 돕는 일이 많아 발굴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며 “늦었지만 여성 독립운동가를 더 많이 찾아내 더 많이 현창시키겠다”고 언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