뱃살도 뱃살 나름이다. 윗배만 뽈록 나온 사람. 아랫배만 축 처진 사람. 바지를 입으면 벨트 위로 머핀 살이 넘치는 사람. 살이 찐 원인도, 살 빼는 방법도 식단도 모두 다르단 말씀.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뱃살 비만 유형을 알아야 제대로 된 뱃살 빼기가 가능하다. 내 뱃살은 어떤 비만 유형일까?
뱃살 유형 3가지
1 | 윗배 나온 사람
윗배가 나온 사람(윗배 불룩형)은 식사 속도가 빠르고 과식, 폭식을 흔히 하며 불규칙적인 식사 습관을 가진 사람이다. 주로 과식을 하기 때문에 소화가 잘 안되고 배에 가스가 차거나 더부룩한 느낌이 항상 있다. 피하 지방보다 내장 지방을 줄여야 하는 타입으로 지방과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규칙적인 식습관과 꾸준한 운동이 필요하다.
추천식단
단백질 위주의 식단을 짜고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와 해조류 섭취를 늘리는 것이 좋다. 과일은 오전에 섭취하는 것이 좋다.
주의식단
짜거나 매운 자극적인 식단, 기름진 음식과 고 탄수화물 음식, 술과 담배는 피하는 것이 좋다.
추천운동
가벼운 달리기, 빠르게 걷기와 같은 유산소 운동이 좋다. 윗몸 일으키기와 같은 근력 운동은 체력을 기른 후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불규칙한 식습관과 생활 습관 개선을 위해 하루 30분, 1주일 5회, 3개월 이상 꾸준히 운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윗배가 볼록한 경우는 특히 규칙적으로 하는 유산소 운동이 필수라는 것을 명심하자!
2 | 아랫배 나온 사람
대부분의 여성들에게 나타나는 유형으로 변비가 심하고 활동량이 부족한 경우에 많이 나타난다. 혈액 순환이 잘 안되고 지방 세포가 셀룰라이트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유형이다. 기초 대사량을 증가시키는 근력 운동과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며 체지방과 셀룰라이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좋다.
추천식단
3대 영양소(탄수화물, 단백질, 지방)가 골고루 포함된 식사를 하루 3번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와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매 끼니마다 넣어 포만감은 더하고 칼로리는 낮추는 식단이 좋다. 섬유질이 풍부한 보리와 같은 탄수화물을 섭취해야 변비를 예방할 수 있다.
주의식단
활동량이 적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양의 식사를 하는 것보다 규칙적으로 자주 먹도록 한다.
추천운동
전신 근육을 사용하는 수영이나 에어로빅이 좋다. 단순히 걷기와 같은 유산소만 하는 것보다 근육을 자극시킬 수 있는 자전거나 계단 오르기가 도움이 된다. 활동량이 적은 아랫배가 나온 사람은 기초 대사량 유지와 효과적인 체지방 감소를 위해 근육을 사용하는 운동을 해야 한다. 더불어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해 근육량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3 | 옆구리 나온 사람
흔히 출산 후에 나타나는 뱃살 유형으로 산후 비만형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임신 중에는 활동량에 비해 음식 섭취가 많아져서 뱃살과 옆구리 살이 늘어나고 출산 후에는 뱃살로 붙어서 좀처럼 빠지지 않는 골칫거리가 된다. 유연성이 떨어지고 움직임이 줄었기 때문에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을 포함한 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추천식단
식욕과 식사량이 늘어 살이 찐 타입이므로 포만감을 주기 위해 채소 샐러드를 먼저 먹고, 식사를 하는 것이 좋다.
주의식단
배가 고프지 않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만약 배고픈 상태에서 식사를 하게 된다면 폭식을 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추천운동
가벼운 근력 운동과 복근 운동을 실시한 후 걷기나 자전거 타기를 30분 정도 실시하는 것이 좋다. 옆구리 살을 빼기 위해서는 기초대사량이 증가될 수 있는 근력 운동이 필수다.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근력 운동을 하고 복부의 탄력을 유지해주는 복근 운동을 실시하면 효과적으로 지방을 제거 할 수 있다.
'유익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여권으로 무비자 입국 가능한 국가는 몇 나라나 될까? (0) | 2019.07.03 |
---|---|
음주측정기로 혈중알콜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원리 (0) | 2019.06.26 |
전날 과음 후 아침 숙취운전이 더 위험한 이유 (0) | 2019.06.26 |
공항 직원이 알려주는 인천공항 이용 꿀팁 (0) | 2019.06.07 |
현충일 태극기 조기 게양법과 국기 다는 위치 (0) | 2019.06.06 |
허리를 파괴시키는 6가지 자세 (0) | 2019.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