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억할뉴스

천만관객 돌파한 영화 '극한직업'에 대한 6가지 탐색


1. 영화 '극한직업'이 천만 관객을 돌파했다. 

영화 극한직업은 최근 한국영화의 부진을 뚫고 개봉 15일째인 6일(2019.2) 올해 첫 천만 영화가 됐다.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25분 기준으로 '극한직업'의 누적 관객 수는 1천만3천87명이다. 전날까지는 939만7천163명이 관람했다. 지난해 8월 천만을 넘은 '신과함께-인과연'에 이어, 역대 23번째로 천만 영화 클럽에 가입했다. 한국 영화로서는 역대 18번째이며, 코미디 영화로는 2013년 '7번방의 선물'에 이어 두 번째다. 그리고 CJ엔터테인먼트 배급작으로는 6번째 천만 영화다. 





2. 영화 '극한직업'의 천만 관객 돌파 속도는 23편의 천만영화 중 '명량', '신과함께-인과 연'에 이어 세 번째로 빠르다. 

지난달 23일(2019.1) 개봉과 동시에 한 번도 1위 자리를 내주지 않은 이 영화는 개봉 10일째인 지난 1일 '국제시장', '변호인', '광해, 왕이 된 남자' 등 다른 천만 영화보다 빠른 속도로 500만 관객을 돌파했다. 설 연휴 시작인 지난 2일부터는 하루 평균 100만 관객을 불러모았다. 지난 2일 600만, 3일 700만, 4일 800만, 5일 900만 관객을 넘어섰다. 


3. 메가폰을 잡은 이병헌 감독은 4번째 장편 연출작인 이 영화로 천만 감독 대열에 합류했다. 

주연을 맡은 류승룡 역시 '광해, 왕이 된 남자', '7번방의 선물', '명량'에 이어 4번째 1천만 영화를 배출했다. 이병헌 감독은 "얼떨떨하다. 함께 작업하며 고생한 스태프, 배우들과 기분 좋게 웃을 수 있어 행복하고 무엇보다 관객분들께 감사하다"며 소감을 전했다.



4. 영화 '극한직업'이 단기간에 천만을 돌파한 데는 무엇보다 장르의 특성이 크게 작용했다.  

이 영화는 해체 위기의 마약반 형사 5인방이 범죄조직을 소탕하기 위해 위장 창업한 치킨집이 전국 맛집으로 소문나면서 벌어지는 일을 담았다. '국가부도의 날', '마약왕' 등 지난해부터 잇달아 나온 무게감 있는 한국영화에 지친 국내 관객들이 가벼운 코미디 영화를 찾았다는 것이 영화계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가벼운 웃음을 노린 전략이 적중했으며, 연기자들의 뛰어난 연기가 이를 받쳐줬다. 


5. 웃음과 범죄 장르를 맛깔나게 버무린 영화 구성과 제 몫을 해내는 등장인물들에도 충분한 매력이 있다. 

대사에 녹아있는 아재 개그의 웃음 타율이 제법 높고 범죄조직을 잡기 위해 치킨집을 창업한다는 설정은 기발하다. 극 중 고 반장(류승룡 분)의 명대사인 "지금까지 이런 맛은 없었다. 이것은 갈비인가 통닭인가"는 유행어로 떠올랐다. 서민들이 가장 즐겨 먹는 치킨을 소재로 삼아 소시민의 애환까지 보듬었다. CJ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등장인물들이 모두 '짠내 나는' 소시민들이라 생업 전선에 있는 사람들이 공감대와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6. 영화 '극한직업'이 설 극장가를 장악한 데는 강력한 경쟁자가 없었던 덕분이기도 하다.

'극한직업'보다 일주일 늦게 개봉해 설 극장가를 양분할 것으로 예상했던 '뺑반'은 겨우 100만을 넘는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제임스 캐머런 감독의 꿈으로 불리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알리타: 배틀 엔젤'은 지난 5일 개봉했지만, 개봉일이 연휴 막바지인 탓에 '극한직업'의 흥행 돌풍을 막지 못했다. 전통적으로 설 연휴에는 한국영화, 특히 코미디가 강세를 보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