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통신에 따르면 야마가타(山形)현 경찰은 1983년 행방불명됐던 사이토 다케시(斎藤武) 씨가 작년 4월 일본 내에서 숨진 채로 발견됐다고 6일 발표했다. 실종 당시 38세이던 사이토 씨는 1983년 10월 요코하마(橫浜)시에 있던 회사를 그만둔 뒤 실종됐다. 그는 이후 출국 기록이 없으면서 북한에 납치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특정 실종자'로 분류됐다.
1980년대 북한으로 납치됐을 가능성이 있는 '특정 실종자'로 분류됐던 일본인이 일본 내에서 또 발견된 것이다.
일본 경찰은 사이토 씨가 북한에 납치됐다가 귀국했을 가능성은 없다고 설명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사이토씨의 시신은 작년 4월에 발견되었다. 하지만 이렇게 발표가 늦어진 것은 신원을 확인하는 데 시간이 걸렸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북한에 납치된 것으로 추정됐던 실종 일본인이 일본에서 발견된 것은 이뿐만이 아니다
일본 경찰은 일본 납북자로 알려진 인물이 지바(千葉)현과 미야자키(宮崎)현에서 발견됐다고 지난 5월과 8월에도 발표한 바 있다. 이로써 일본에서 특정실종자로 분류된 사람은 880명으로 줄었다.
1970년부터 일본에서 실종된 사람의 다수를 북한이 납치했을 것이라는 추론을 근거로 일본 정부가 제기하는 것이 일본인 납치 문제다. 이 문제는 북한이 2002년 9월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총리의 방북을 계기로 13명의 납치 사실을 인정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하면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일본 정부가 특정 실종자를 제외하고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북한의 일본인 납치 사건은 총 12건에 17명이다. 이들 중 고이즈미 전 총리의 방북 후에 일시귀환 형태로 귀국한 5명을 제외한 12명이 공식적으로 미해결 상태로 남아 있다. 북한은 12명 중 일본인 납치 피해자의 상징으로 불리는 요코타 메구미(1977년 실종 당시 13세) 등 8명은 사망하고 4명은 북한에 들어오지도 않았다며 일본의 납치 주장을 반박하고 있다.
이번 사이토다케시씨의 시신 발견으로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일본 정부가 거론하는 납치 문제는 "무근거한 날조품"이라며 "안팎으로 위기에 몰릴 때마다 납치 문제를 거들며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려는 것이 아베 패당의 상투적 수법"이라고 비난한 바 있다.
그러나 납치 이슈를 정치적으로 이용한다는 지적을 받아온 아베 신조 총리 정부는 북한이 사망 사실을 명확하게 해명하지 못하는 등 실상을 숨긴다고 맞서고 있다. 아베 총리는 납치 문제 해결 없이는 국교정상화 등 북일 관계 개선이 불가능하다는 태도를 고수하다가 지난 5월 갑자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무조건 만나자고 제안했지만 "낯가죽 두껍다"는 비아냥만 들었다.
'기절초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안의 화제 노브랜드 버거 벌써 초심을 잃어버린 거니? (0) | 2019.10.24 |
---|---|
영국 BBC 선정 오늘의 단어 '꼰대' (0) | 2019.09.30 |
일본 온천 전문가가 밝히는 일본 온천의 비밀 (0) | 2019.09.23 |
한국네슬레 후쿠시마 인근 8개지역에서 가공,원료식품 수입해와 (0) | 2019.08.07 |
우리나라 도로를 활개치는 일본활어차량 단속 불가능 (0) | 2019.07.27 |
음식의 사막화, 토마토와 감자를 알아보지 못하는 미국 아이들 (0) | 2019.07.18 |